|
|
|
HOME > 아바카페 > 목회자친교방 |
목회자친교방 |
|
|
|
|
한국 교회의 좌경화 |
IP : 183.99.28.88 글쓴이 : 송계남 조회 : 84 작성일 : 25-03-19 14:54:17 |  |
한국 교회의 좌경화
오늘날 한국 교회에 나타나는 가장 걱정되고 실망스러운 모습 중의 하나는 교회의 좌경화이다. 한국 교회에 목사와 장로들의 상당수가 좌파이다. 그러면서도 그들은 자기들이 공산주의 사상을 따르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이런 형편은 전국 지역의 모든 교회에서 나타나는 현상일 것이라 생각이 된다.
공산주의는 세계 10대 종교 중의 하나로 간주된다. 프란시스 쉐퍼는 공산주의가 세계 10대 종교 중의 하나임을 설명하고, 이를 경계하면서 기독교 선언이라는 책을 썼다. 쉐퍼는 이 책을 1980년에 집필했는데, 당시의 미국 사회를 인본주의로 묘사하고 있다.
미국의 건국은 종교개혁의 영향 하에 이루어졌는데, 종교개혁의 세계관(기독교 세계관)과 인본주의적 세계관은 모든 면에서 정반대를 이룬다는 것이다. 그래서 쉐퍼는 동성애와 성 개방 사상이나 가정의 붕괴, 낙태 등의 제반 사회문제들을 개별적인 사안으로 다뤄야 할 것이 아니라 이 모든 사안들의 배후에 도사리고 있는 세계관 전체를 꿰뚫어보아야 한다고 말한다.
쉐퍼가 말하는 인본주의의 세계관은 절대자 없이 우연에 의해 만들어진 세계를 전제하는 세계관이다. 즉, 유물론과 진화론에 근거한 세계관인 공산주의 세계관을 쉐퍼 목사가 경계한 것이다.
도스토예프스키는 공산주의자를 무신론을 종교처럼 믿는 사람들이라고 하였으며, 폴 틸리히는 사회주의, 파쇼주의, 공산주의, 민족주의 등을 유사종교라고 했다.
이탈리아 공산당의 아버지라 불리고 네오막시즘을 주장한 안토니오 그람시도 사회주의는 종교라고 강조했다. 그람시는 학교와 교회, 언론 등에 사회주의를 침투시켜 점진적으로 문화의 변혁을 일으켜서 사회주의의 승리를 이룰 수 있다고 말했다. 이것이 바로 진지전의 개념이다.
사회주의 사회가 종교를 비판적으로 해석하는 것은 19세기의 철학 사상, 특히 포이에르바하의 종교관에 근거를 두고 있는데, 포이에르바하는 기독교의 본질이라는 저서에서 종교는 인류의 문화발전 과정에서 인간이 신 혹은 신적 존재에 대해 잘못 만들어낸 사상과 가치의 체계라고 주장했다.
포이에르바하에게 영향을 맏은 칼 막스는 종교를 아편이라고 말하는데, 막스가 말하는 종교는 기독교를 의미한다. 이런 상황이므로, 이론적으로나 역사적으로나 기독교와 공산주의는 절대로 서로 양립할 수 없는 사상이다.
따라서 크리스쳔이면서 좌파라는 것은 단순히 정치적인 선호가 어떻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예수님도 믿고 다른 종교도 믿는다는 것을 뜻하며, 교회 내 좌파들은 종교다원주의자들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래서 그런지 WCC 같은 종교다원주의를 표방하는 단체에는 공산주의의 사상이 깊이 배어 있다.
공산주의자들은 기독교를 제일 싫어하고 박멸해야 할 대상으로 생각한다.
625 전쟁 때 김일성이 남한으로 내려와서, 교회를 다 불태우고 교회에 다니는 사람들은 다 죽였는데, 특히 집사 이상은 절대로 살려두지 않았다. 625전쟁에서 뜻을 이루지 못한 김일성이 생각해 낸 것이 바로 한국 기독교로 침투하여 기독교를 좌경화하는 것이었다.
마침 1960년대부터 독일의 프랑크푸르트학파에 의해 네오막시즘이 태동되어 점차로 교육과 언론, 문화 산업을 통해 공산주의 사상이 교육되고 있었다.
김일성이 프랑크푸르트 학파에 대해 알고 있었는지는 확실치 않지만, 김일성이 한국의 종교인, 언론인, 교육 관계자들을 포섭하고 주사파 교육을 하던 시기와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활동 시기가 비슷하다.
공산주의의 한국교회 침투만도 감당하기 버거운데, 프리메이슨과 공산주의자들의 걸작품인 WCC에 한국의 대형 교단들이 대거 가입하게 되어, 교회는 점차로 예수님의 복음 대신 막시즘으로 물든 해방신학과 혼합신학이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원래 칼 막스는 기독교의 천년왕국과 같은 낙원을 공산사회의 실현으로 믿고 그 신앙에 사로 잡혀 있었다. 막스는 공산주의 도래가 과학적이며 역사적 필연이라고 믿었다.
이들은 예수님이 이루어 주시는 유토피아인 천년왕국 대신에, 공산주의 사상 혁명으로 유토피아를 이루려 노력한다. 그래서 교회에서 생태신학을 강조하고, 구원의 개념을 예수님을 믿는 사람 대신 모든 피조물의 회복으로 확장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좌파적 세계관이 진보적이며 성경적이라고 생각하는 불쌍한 목사나 장로들은 예수님의 복음을 대적하는 이단이라는 것을 깨닳아야 한다.
또한 일부 중대형목사들은 자신들의 정치적 성향을 스스로가 중도 중립이라고 주장하며, 좌로나 우로나 치우치지 마라(신5:32)(수23:6) 인용하며 함묵하고 있는 실정이다.
회중교회
|
|
|
|
|